본문 바로가기

[newstrend report]/더 딴죽 라이브

김태희 트집 잡고 재일동포 공격하는 재특회, 한심하다 못해 안쓰럽다

10일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싶다’ 한 장면

주말인 10일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싶다’는 한 무리의 일본인 시위대가 배우 김태희를 몰아내자며 배척하는 모습을 시작으로 혐한류의 실체를 다뤄 충격을 줬다.

김태희가 반일 여배우? “김태희 일본에 오지 마라. 오면 죽일 거야”

일본 우익들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보이는 혐한류 시위는 지난해 8월 일본 배우 타카오카 소스케의 한류 비하 발언이 있고나서, 후지TV 앞 '반한류' '반후지' 시위가 이어지며 시작됐다. 이후 후지TV 드라마 ‘나와 스타의 99일’ 에 여주인공으로 발탁된 김태희가 타도의 대상이 된 것이다.

지난 2월 로토제약 앞 시위에서는 극우 성향의 넷우익들이 김태희를 광고 모델로 기용한 기업을 향해 “너희도 적이다. 네놈들을 절대 용서하지 않겠다”며 갖은 욕설과 저주가 섞인 피켓을 들고 항의하기도 했다. 결국 이들의 불매운동으로 로토제약 측은 김태희의 광고발표회도 취소할 수 밖에 없었다.

10일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싶다’ 한 장면

넷우익들이 김태희를 반일 배우로 지목한 이유는, 그녀가 2005년 문화홍보대사 자격으로 스위스로 방문해서 독도홍보행사에 참여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뒤틀린 역사관으로 인한 피해의식

그것이 알고 싶다 제작팀이 인터뷰한 재특회(재일동포의 특권을 용서하지 않는 시민회)의 회장 사쿠라이 마코토는 “재일한국인들은 일본인의 권리를 빼앗고 있다”며 피해의식을 드러내기도 했다.

재특회는 문제가 된 '김태희 퇴출 시위'를 주도한 단체다. 일본에 김태희의 팬은 없으며, 한류가 조작됐다는 그들의 주장과 달리, 김태희를 비난하는 구호에 그녀의 팬으로 알려진 한 일본인이 “나쁜놈!”이라고 외치며 달려들기도 했다.

하지만 사쿠라이 마코토는 독도문제와 위안부 문제 등 역사에 대해서도 왜곡된 주장을 펼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독도는 일본 영토라고 주장하는 연예인이 있다면 그 연예인이 한국에서 광고모델로 기용됐다고 했을 때 아마 한국, 당신들 성격을 볼 때 그 회사에 불이라도 낼 거다. 재일 동포는 돈이 좋아 일본으로 왔을 뿐이다. 일본이 살기 좋아 돌아가지 않는 것이다. 또 당신들은 위안부 할머니들이 불쌍하다고 하지만, 우리의 할아버지들이 피해자다. 증거도 없이 강간범·살인마로 욕을 먹고 있다.”

그는 시위 현장을 촬영하던 '그것이 알고싶다'제작팀들을 향해 협박과 위협을 퍼붓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왜곡된 역사의식만이 혐한류 시위의 원인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일본 내 극우파들이 꾸준히 그들의 입장을 밝혀왔으나 시위 양상이 다르다는 점에서 그렇다. 이들의 시위는 단순히 역사문제의 주장이 아닌 ‘문화’와 ‘재일동포들’을 직접 지목한 채 ‘분노’를 표출시키고 있다.

자국의 불안과 불만을 한국에 돌리는 넷우익

오랜 기간 재특회의 실체를 추적해 온 일본 노동잡지의 야스다 고이치 기자는 “외로운 떠돌이들이 사회와 접속하고 싶은 가운데, 적을 발견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이 많은 일본 젊은이들의 사정이다. 그들에게서 일종의 공포감이 느껴진다”고 말하기도 했다.

도쿄조형대학에서 전쟁증오범죄연구를 연구하는 마에다 교수는 “중간층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패자층으로 전락한다는 공포에 산다. 실제로 취직이 안 되거나 파견족, 니트족이 되는 상황에 처하게 되는 등 이 사회가 폐쇄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이들이 재특회의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은 두려운 일이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때문에 최근 일본에서 빠르고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혐한류 시위는, 후쿠시마 원전사태와 경제적 악화로 급속히 커진 불안을 외국인을 대상으로 풀어버리려는 비이성적 광기가 내포돼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본은 미래를 잃어버렸나

지난해 쓰나미가 닥친 일본. 최대 희생지 가운데 미나미산리쿠 초는 흔적도 없이 사라졌으며 대신 거대한 쓰레기 산이 생겨났다. 이 밖에 다른 지역들도 곳곳의 쓰레기 산들이 정부와 지자체의 골칫거리로 떠올랐다. 여기에 방사능 피폭은 원전 인근지역 주민들은 물론 국민들까지 생체실험 대상이 된 듯한 상황을 만들어 가고 있다.

31년 만에 생겨난 무역수지 적자도 수출왕국 일본의 미래를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해외의 전문가들은 일본의 무역수지 적자가 지금보다 훨씬 규모가 커지고 고착화 될 수 있음을 우려하기도 한다. 프랑스 대형 금융기관 소시에테제네랄 도쿄지점 애널리스트 다쿠치 오쿠보는 지난 1월 BBC 인터뷰를 통해 “일본 무역적자는 2014년까지 계속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여기에 한국의 삼성과 LG가 일본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황은 넷우익들의 반한 감정을 더욱 자극할 만한 좋은 구실이 되기 쉽다.

일본의 국가적 재앙과 암담한 경제상황이 정말 안타깝고 슬픈 일이다. 그러나 자국의 정치인들과 경제 구조를 향해 원인과 책임을 묻지 않고, 엉뚱하게도 외국인들에게 불만을 전가하는 반인권적 활동은 결코 수긍할 수 없는 일이다. 일본의 일부 네티즌들에게 나타나고 있는 이런 현상은 참으로 안타깝고, 안쓰럽게 보이기까지 한다.